밤을 꼴딱새서 남의 코드를 가져다가 다듬어서 과제 제출을 어영부영 완료했다
해설영상을 보아도 내가 이 큰 틀을 이해하지 못해서 강의x무한반복과 구글링해서 개념을 익혀 넣어도 편집기를 켜서 구조를 바꾸려고 한다던가 코드를 쓸때 뇌정지가 쎄게온다
클래스와 생성자
잘 모르겠지만 클래스로 객체를 생성하고 생성자를 만들면 클래스의 객체를 만들때 그 생성자의 정의된 코드대로 변한다? 초기화 된다? 그러고 객체를 호출할때 객체가 생성되고 이렇게 따로 두는 이유는 가독성 / 유지보수 /코드의 재사용 / 모듈화 등등 이 점이 있기에 따로 빼서 사용한다
주생성자와 부생성자
주생성자는 클래스를 정의할때
class nakgopsae(){
init{
//주생성자
}
}
class 안에 init을 사용하여 클래수의 속성을 정의한다
class하나에 주생성자는 하나만 선언가능
부생성자constructor를 사용하여 주생성자와 달리 여러개를 정의할수있다
class nakgopsae(){
constructor(){
/부생성자
}
}
개념이 이해가 잘안되서 설명도 잘못하겠다
주말에 클래스 생성자 상속 오버라이딩 오버로딩 무조건 이해되게끔 만들어 보겠다 ! ㅇㅈㅇㅈ
'TIL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3/12/12kotlin (1) | 2023.12.12 |
---|---|
23/12/11kotlin (1) | 2023.12.11 |
23/12/07kotlin (1) | 2023.12.07 |
23/12/05kotlin (2) | 2023.12.05 |
23/12/04 kotlin (0) | 2023.12.04 |